メインメニューをとばして、このページの本文エリアへ

news letter
RSS

無料

영화 「택시운전사」에 서린 한국인의 회한

-군사권력의 폭압, 끊임없는 민주화 운동, 박정희 신화와 전두환의 안존-

서정민(徐正敏) 메이지가쿠인대학 교수(종교사), 그리스도교연구소 소장

*이 기사는 필자가 한국어와 일본어 2개국어로 집필하였습니다. 일본어판도 함께 읽어 주시기 바랍니다.

拡大영화 「택시운전사」의 포스터로부터, 한국의 톱 배우 송강호가 군에 의해 도시 전체가 장악된 광주에 독일인 기자를 태우고 가는 택시운전사 역할을 맡았다 =쇼 박스 제공

전두환 정권에 저항한 '광주 민주화운동'

2017년 제작된 한국영화 ‘택시 운전사’(감독 장훈, 주연 송강호)는 한국 내에서만 연인원 1천2백만 이상의 관객을 동원하며, 종전 기록적인 히트작이 되었다. 한국 현대사의 아픈 기억의 한 장면일 수밖에 없는 ‘광주민주화운동’을 소재로 한 영화가 이런 반향을 불러 일으킨 것은 왜일까. 물론 영화적인 연출력, 연기자의 탁월한 연기도 한 몫을 하였겠지만, 이 영화의 주제가 그대로 한국인에게 아직도 풀리지 않은 회한과 넘어서지 못한 아픔의 기억으로 남아있기 때문일 것이다.

영화는 한 사람의 평범한 서울의 택시운전사가, 남쪽 광주에서 벌어지고 있는 심상찮은 사건의 전모를 취재하기 위해 고립된 광주로 가고자 하는 독일인 기자를 자신의 택시에 태우고 떠나면서 시작된다. 군사 쿠데타 세력에 의해 철저히 봉쇄된 한국 언론, 부정한 방식으로 권력을 탈취하기 위해 정규군, 그 중에서도 특수부대를 동원하여, 민주주의를 외치는 시민들을 제압하고 살상한, 이 심각한 사태는 한국 내 다른 지역에는 알려지거나 보도되지 않았던 시점이었다.

1980년 5월, 한국 전라도의 중심도시인 광주에서는 민주화를 요구하는 학생들과 이에 동조하는 시민들의 시위가 계속되었다. 18년 동안의 박정희(朴正熙) 군사독재정권이 그 내부의 균열로 붕괴된 후 절호의 민주화 기회를 맞았으나, 또 다른 군부, 곧 전두환(全斗煥)을 중심으로 한 신군부(新軍部)가 정권을 유린하고, 다시 정치권력을 사당화 하는 데 대한 반대였다. 물론 이에 대한 학생, 시민들의 반대 시위는 전국적이었으나, 그 절정이 광주에서 진행되었다. 그러나 사악한 정치 군부 세력은 국민의 군대가 바로 그 국민을 살상하는, 어불성설의 방식을 동원하였다.

공식확인 된 사망자 193명, 부상자 852명으로 발표되었으나, 그와 다른 더 많은 희생자를 증언하는 기록도 전하고 있다. 결국 이 민주 봉기는 일단 실패하였고, 전두환 정권의 폭압적 군사정권은 1987년 6월 10일 민주항쟁까지 지속되었다. 그 후에도 일정시기 한국의 민주주의는 지속적인 위협을 받고, 위기가 지속된 바 있다.

4.19/5.16/12.12/5.18/6.10


関連記事

筆者

서정민(徐正敏)

서정민(徐正敏) 메이지가쿠인대학 교수(종교사), 그리스도교연구소 소장

대구 출생. 연세대학교 신과대학 및 대학원 수료, 일본 도시샤(同志社)대학 박사학위 취득. 연세대학교 신과대학 및 연합신학대학원 교회사 교수, 신과대학 부학장 역임. 일본 메이지가쿠인대학 초빙교수, 객원교수를 거쳐, 현재 정년보장 교수. 아시아종교사, 한일기독교사, 한일관계사 전공. 유학시절을 포함하여 10년 이상 일본에 체류하며, 아시아의 종교, 문화, 사회, 정치, 특히 한일관계를 연구하고 있다. 주요저서로는 『일본기독교의 한국인식』(한울, 2000), 『한국교회의 역사』(살림, 2003), 『제중원과 초기 한국기독교』(연세대학교 출판부, 2003), 『언더우드가 이야기』(살림, 2005), 『이동휘와 기독교』(연세대학교 출판부, 2007), 『한국가톨릭의 역사』(살림, 2015) 이외, 한국어와 일본어 저서 50여 권.

※プロフィールは、論座に執筆した当時のものです